-
문화통신 2007 봄/5월
목차 Special 특집 춘천마임축제 해외의 축제들 Column 금토생각 서유록을 읽으며 이광식 Photo 줌인 줌 아웃 Essay 김풍기의 한시산책 추억과 희망을 다시 돌아본다 Literature 문학의 향기 소설 속의 女性과 性 ① 김유정 손윤권 Poem & Gallery 시인과 ...Byadmin Views175 -
내고장의 옛 지명-춘천편(2), 月刊 太白文化 8
삼천동엔 두곳의 말무덤처 벌판에 돌모래 많아 석사동 황새모양같은 논배미경작 상여가 반드시 통과했던 ‘송장고개’ 68칸의 도내 최대 司倉 우두강에는 가마소, 귕골 *강원문화연구소 소장 자료 *춘천시문화재단 자료실 소장자료 김명환, 「내고장의 옛 지명-...Byadmin Views470 -
탁월한 외교력으로 국난극복한 문의공 박항(朴恒), 月刊 太白文化 9
*강원문화연구소 소장 자료 *춘천시문화재단 자료실 소장자료 이동진, 「탁월한 외교력으로 국난극복한 문의공 박항(朴恒)」, 『月刊 太白文化 9』, 태백문화사, 1987. pp.192-199.Byadmin Views4721 -
홍천강변 2층 초가집 주인 동양화가 金奎鉉씨, 月刊 太白 VOL 10
욕심없는 반 문명주의자 외가는 원주, 반은 강원도 사람 다조의 개척공신 자부 풀씨보다 가벼운 몸 홍천강의 파수꾼 *강원문화연구소 소장 자료 *춘천시문화재단 자료실 소장자료 조영국 기자, 「홍천강변 2층 초가집 주인 동양화가 金奎鉉씨」, 『月刊 太白 V...Byadmin Views217 -
출동 새벽4시-춘천번개시장, 月刊 太白 VOL 11
*강원문화연구소 소장 자료 *춘천시문화재단 자료실 소장자료 최용주 기자, 「출동 새벽4시-춘천번개시장」, 『月刊 太白 VOL 11』, 강원일보사. 1988. pp.38-41.Byadmin Views312 -
내고장의 옛 지명-홍천<상>, 月刊 太白 VOL 12
학이 날아가며 깃 떨군 ‘짓고개’ 5마리의 용이 승천했다는 오룡산 여우가 자주 나타나 여우 고개로 *강원문화연구소 소장 자료 *춘천시문화재단 자료실 소장자료 김명환, 「내고장의 옛 지명-홍천<상>」, 『月刊 太白 VOL 12』, 강원일보사. 1988. pp.204-207.Byadmin Views184 -
壯士 화가 春泉 이영일, 月刊 太白 VOL 14
‘나는 小亭(卞寬植)과 함께 일본 가서 그림공부를 하다가 동경에서 한 장사(壯士)를 만났다. 그가 바로 나보다 1년 먼저(38년) 선전(鮮展)의 추천작가가 된 춘천 이영일(春泉․李永一)이다. 유도 3단의 거구인 이영일은 동경 뒷골목을 누비고 다녔다. 시시껄렁...Byadmin Views291 -
춘천의 명물 막국수 고유의 맛 되찾아야 한다, 月刊 太白 VOL 16
목차 정보 없음 *강원문화연구소 소장 자료 고경희, 「춘천의 명물 막국수 고유의 맛 되찾아야 한다.」, 『月刊 太白 VOL 16』, 강원일보사. 1988. pp.70-75.Byadmin Views82 -
강원의 산사/淸平寺-居士佛敎의 대가람, 月刊 太白 VOL 17
목차 정보 없음 *강원문화연구소 소장 자료 유영식, 「강원의 산사/淸平寺-居士佛敎의 대가람」, 『月刊 太白 VOL 17』, 강원일보사. 1988. pp.140-143.Byadmin Views98 -
구한말 春川의병들이 부른 愛國․救國의 아리랑, 月刊 太白 VOL 19
목차 정보 없음 *강원문화연구소 소장 자료 박민일, 「구한말 春川의병들이 부른 愛國․救國의 아리랑」, 『月刊 太白 VOL 19』, 강원일보사. 1989. pp.186-191.Byadmin Views72 -
강원의 신사-홍천 수타사, 月刊 太白 VOL 19
목차 정보 없음 *강원문화연구소 소장 자료 유영식, 「강원의 신사-홍천 수타사」, 『月刊 太白 VOL 19』, 강원일보사. 1989. pp.134-139.Byadmin Views79 -
강원의 민예품-춘자별전(春字別錢, 月刊 太白 VOL 26)
강원도에서 만든 상평통보(엽전)은 조선조 약150년 동안 125종이 주조(鑄造)되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…… 춘자전(春字錢):춘자전은 고정 25년(1888년)부터 춘천관리영(春川管理營)에서 만든 것으로 당5전(대․중․소)만 116종이 만들어졌다. 춘자별전(春字別錢...Byadmin Views196 -
春川미술사 20년을 지켜온 자존심의 거리, 月刊 太白 VOL 38
춘천시 요선동은 지역문화예술의 숨결이 눅눅히 배어있는 곳이다. *강원문화연구소 소장 자료 용호선, 「春川미술사 20년을 지켜온 자존심의 거리」, 『月刊 太白 VOL 38』, 강원일보사. 1990. pp.146-149.Byadmin Views56
Designed by sketchbooks.co.kr / sketchbook5 board skin